새소식

반응형
250x250
My Study/Linux

Jenkins pipeline 정리

  • -
728x90
반응형

Jenkins의 pipeline이란?

Jenkins의 pipeline이란 연속적인 이벤트 또는 Job의 그룹을 말한다.

 

즉, 자신이 만든 젠킨스 Job들을 순차적 혹은 병렬적으로 실행시키거나 특별하게 작성한 스크립트로

이벤트들을 연속적으로 실행시키는 등의 일을 지원하는 기능이다.

 

파이프라인은 파이프라인 DSL(Domain - Specific Language)을 통해 간단, 복잡한 전달 파이프라인을 코드로 생성할 수 있는 확장 가능한 자동화 서버를 갖추고 있다.

 

Pipeline 용어

다음은 pipeline 관련 용어들이다.

 

○ 파이프라인 (pipeline)

 

- 사용자 정의된 CD 파이프라인 모델

- 파이프라인 코드는 전체적인 빌드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일반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하기 위해 stage를 포함하며, stage를 테스트하고 제공한다.

- 파이프라인 block은 Declarative 파이프라인 구문의 핵심이다.

 

○ 노드 (node)

 

- 젠킨스 환경의 일부이며 파이프라인을 실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 노드 block은 Scripted 파이프라인 구문의 핵심이다.

 

○ 스테이지 (stage)

 

- 스테이지 block은 전체 파이프라인을 통해 수행된 업무의 별개 부분집합을 개념적으로 정의한다. 이는 젠킨스 파이프라인 상태나 과정을 시각화하거나 표현하기 위해 많은 플러그인에 의해 사용된다.

 

○ 스텝 (step)

 

- 단일 업무

- 근본적으로 하나의 스텝은 젠킨스에게 특별한 시점에 무엇을 하라고 지시한다.

- 플러그인이 Pipeline DSL을 확장할 때, 일반적으로 플러그인이 하나의 새로운 스텝을 구현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Pipeline 예시 코드

 

이런 식으로 파이프라인 코드를 작성해준다. 

 

그리고 지금 빌드를 하면

위와 같이 stage 내 문구는 위와 같이 볼 수 있고

안 쪽 step들도 잘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728x90
반응형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