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반응형
250x250
My Study/Linux

신입 개발자의 기록 [12/07] Jenkins, Linux, Vi에 대해

  • -
728x90
반응형

Jenkins, Linux, Vi에 대해 알아보자

 

Jenkins

모든 언어의 조합과 소스 코드 Repository에 대한 지속적인 통합(Continuous integration, CI)과 지속적 배포(Countinuous delivery, CD)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도구이다. 빌드, 테스트, 배포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소프트웨어 품질과 개발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Git 과 같은 버전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소스의 커밋을 감지하면 자동적으로 자동화 테스트가 포함된 빌드가 작동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Jenkins의 이점

 

 

1. 편리한 설정

 

웹 기반의 콘솔로 다양한 인증 기반과 결합이 가능하며 권한 관리 기능을 통해 안전한 빌드 및 배포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수많은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자동화 할 수 있어 반복되는 작업을 줄일 수 있다. 빌드 및 배포의 결과에 대해 통지 받을 수 있는 설정이 간편하고 다양한 채널을 통해 빠르게 피드백 받을 수 있다.

 

2. 안정적인 빌드 및 배포 환경

 

소스 버전 관리 툴과 연동하여 코드 변경을 감지하고, 자동화 테스트를 포함한 빌드를 수행하여 소프트웨어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자동화 테스트에는 코딩 표준 준수 여부 체크, 유닛 테스트, 통합 테스트 등을 설정할 수 있고 테스트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받아 잠재적인 오류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빌드 결과물을 지속적으로 배포하도록 설정하여 개발 프로세스 전체를 자동화 할 수 있다.

 

3. 다양한 활용 및 손쉬운 확장

 

Jenkins는 많이 사용되고 있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 문서화가 잘 되어있다. 빌드 및 배포 이외에도 스케줄링을 이용한 배치 작업에도 활용되는 등 다양한 적용 사례들을 참고할 수 있다. 플러그 인을 직접 개발하여 기능을 확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윈도우 환경에서 Jenkins 설치

https://www.jenkins.io/download/

 

Jenkins download and deployment

Jenkins – an open source automation server which enables developers around the world to reliably build, test, and deploy their software

www.jenkins.io

 

위 사이트에 들어가 윈도우 전용 파일을 받는다. 필자는 JDK 8버전을 사용해 2.346.1 버전을 받았다.

(2.346.1 버전은 사이드에 들어가면 Stable(LTS) 라고 써져있는 곳 아래 Past Releases에서 받을 수 있다.)

2.346.1의 war 파일을 받은 뒤 C드라이브에 jenkins 파일을 만들어 그 안에 넣어준다.

(폴더 위치나 폴더 명은 편한대로 하면 된다.)

 

그리고 그 폴더의 위치에서 cmd 창을 열고 아래 코드를 입력한다.

java -jar jenkins.war --httpPort=<원하는 포트>

 

 

최초 설치 시 초기 비밀번호를 요구하는데 화면 위에 핑크색 글씨로 써져있는 곳에 가면 비밀번호를 찾을 수 있다.

그 후 계정을 생성하고 url 설정 시 내 ip로 생성해준다.

 

설치가 완료된 다음 설정해준 url로 접속해보면 접속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설치가 완료된 것을 볼 수 있다.

지금 우리는 java -jar 이라는 명령어를 통해서 띄운 것이기에 지속적인 서비스를 위해 윈도우 서비스로 등록하도록 한다.

 

위의 설정해준 url로 들어가 Jenkins 관리 > Install as Windows Service를 누른다.

이 때 directory를 설정하는 과정이 나오는데 원하는 경로를 지정 후 바로 YES를 누르지 않는다!!

 

젠킨스 설치 폴더로 이동(C:\user\...\jenkins) 여기에서 users 폴더 복사 후 jenkins를 새로 설치할 폴더에 붙여 넣는다.

그리고 Jenkins.xml을 열어보면 포트가 8080으로 설정되어 있는걸 볼 수 있는데

다시 원하는 포트로 바꾸고 excutable 자바 경로도 재설정 해준다.

 

<executable>C:\Program Files\ojdkbuild\java-1.8.0-openjdk-1.8.0.332-1\bin\java</executable>

 

그 뒤 YES를 눌러주면 설치는 끝난다.

 


Linux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명령어와 디렉토리 등을 정리해봤다.

 

 

리눅스의 디렉토리 정리


bin

기본 명령어들이 저장된 디렉토리

boot

부팅에 필요한 파일들이 저장되는 곳

dev

시스템 디바이스 관련 파일들이 저장되는 곳

etc

시스템 설정에 관련된 각종 파일들이 저장되는 곳

home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가 생성되는 곳

lib

커널과 프로그램에 필요한 각종 라이브러리가 저장되는 곳

media

CD, USB같은 외부 장치를 연결하는 곳

mnt

탈부착 가능한 장치들을 임시로 연결하는 곳

opt

추가 패키지가 설치되는 곳

root

root(최고 관리자) 계정의 홈 디렉토리

run

실행중인 서비스와 관련된 파일들이 저장되는 곳

sbin

시스템 관리자용 명령어들이 저장되는 곳

sys

리눅스 커널 관련 정보가 있는 곳

tmp

시스템 사용 중 발생하는 임시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

usr

기본 실행파일, 라이브러리, 헤더 파일 등이 저장되는 곳

var

시스템 운영 중 발생하는 데이터, 로그가 저장되는 곳

proc

실행중인 프로세스 및 커널 정보가 저장되는 곳, 디스크 상이 아닌 메모리에 존재

 

 

리눅스의 명령어 정리

 


pwd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의 절대 경로 표시

cd

경로를 이동하는 명령어

ls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과 디렉토리 목록을 표시

mkdir

디렉토리 생성하는 명령어

cp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복사하는 명령어, 디렉토리일 경우 cp -r

mv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옮기거나 이름을 변경할 때 사용

rm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어, 디렉토리일 경우 rm -r

sudo

최고관리자 권한이 필요할 때 명령어 앞에 사용하는 접두어

touch

크기가 0인 새 파일을 생성하거나 이미 파일이 존재한다면 파일의 최종 수정 시간 변경

cat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보여준다. 여러 개의 파일명을 나열하면 파일의 내용을 합쳐서 보여준다

 

단축어 정리


Ctrl + Alt + T

터미널 실행

Ctrl + Shift + T

새로운 창으로 터미널 실행

Ctrl + Shift + W

탭으로 실행된 터미널 종료

Ctrl + Shift + Q

현재 터미널 종료

Ctrl + Shift + F

문자열 검색

Shift + Ctrl + C

복사

Shift + Ctrl + V

붙여넣기

Ctrl + L

화면 Clear

Alt + 좌/우 방향키

좌/우 방향키 : 콘솔 이동

Ctrl + C

실행 중인 프로그램 중지

Ctrl + Z

실행 중인 프로그램 일시 정지

%

일시 정지된 프로그램 다시 실행

tab

자동완성

창 + Shift + 좌/우 방향키

현재 페이지 이동

창 + 좌/우 방향키

현재 페이지를 반으로 줄이고 이동

 


 

Vi

 

vi는 리눅수 환경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문서 편집기로 윈도우의 메모장과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vi 편집기는 4가지 모드가 있다.

1. 명령모드(Command Mode) : 명령어를 입력해 vi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모드

2. 명령라인모드(Command-line mode) : 뒤에 명령어를 입력하여 특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모드

3. 편집모드(Insert mode) : 메모장과 같이 텍스트를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는 모드

4. 비주얼 모드(Visual mode) : 윈도우의 드래그와 같이 문자를 다중으로 선택할 수 있는 모드

 

vi를 실행할 때에는 vi 파일명 또는 vi /절대경로/파일명 또는 vi 상대경로/파일명 등으로 실행할 수 있다.

 

vi 명령어에는 매우 많은 명령어들이 있지만 자주 쓰이는 명령어를 정리해보았다.

 

i 커서의 위치에서 입력모드로 전환
esc 현재 작업 중인 내용을 종료하고 명령모드로 전환
:w 파일의 변경 내용을 저장
:q 파일의 변경내용을 저장하지 않고 종료
:wq, :x, ZZ 파일의 변경 내용을 저장하고 종료
! :w, :q 등의 뒤에 붙이면 강제로 진행하게 하는 명령어

 

vi를 실습해보기 위해 vmware와 redhat을 사용해 보았다.

 

728x90
반응형

'My Study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쉘 스크립트에서의 조건문과 변수  (0) 2024.02.21
Rollback 로직 정리  (0) 2024.02.19
Jenkins rollback job 만들기  (0) 2024.02.15
Jenkins pipeline 정리  (1) 2024.02.15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